Peter Gabriel (1977년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터 가브리엘의 1977년 동명의 앨범은 제네시스 탈퇴 후 발표한 그의 첫 솔로 앨범이다. 1975년 제네시스에서 탈퇴한 가브리엘은 1976년 데모곡을 녹음하고 밥 에즈린과 함께 프로듀싱을 시작했다. 앨범은 토론토에서 녹음되었으며, 토니 레빈, 로버트 프립 등 여러 뮤지션이 참여했다. 앨범은 "Solsbury Hill", "Here Comes the Flood" 등을 포함하며,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터 가브리엘의 음반 - Us (피터 가브리엘의 음반)
《Us》는 1992년 발매된 피터 가브리엘의 앨범으로,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작업했으며 시네이드 오코너 등이 참여했다. - 피터 가브리엘의 음반 - So (음반)
1986년 발매된 피터 가브리엘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 《So》는 팝, 아트 팝, 프로그레시브 팝 등 다양한 장르를 혼합하여 상업적 성공과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Sledgehammer"와 "In Your Eyes" 등의 히트 싱글을 배출했다. - 1977년 데뷔 음반 - Motörhead (음반)
Motörhead는 1977년 발매된 밴드 Motörhead의 데뷔 앨범으로, 밴드의 상징인 스내글투스가 처음 등장하며, 펑크 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는다. - 1977년 데뷔 음반 - My Aim Is True
엘비스 코스텔로의 데뷔 앨범인 My Aim Is True는 닉 로위의 프로듀싱 아래 저예산으로 제작되었으며, 클로버 밴드 멤버들이 참여하여 펑크 록, 펍 록, 뉴 웨이브 등의 영향을 받아 복수와 죄책감 같은 어두운 주제를 다룬 음악과 가사로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그의 대표작이 되었다. - 앳코 레코드 음반 - Vulgar Display of Power
판테라가 1992년에 발표한 Vulgar Display of Power는 1990년대 헤비 메탈에 큰 영향을 주며 그루브 메탈 장르를 정의한 앨범으로, 《빌보드》 200 차트 44위, 더블 플래티넘 인증, "Walk" 싱글의 MTV 인기 등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20주년 기념 디럭스 에디션으로도 발매되었다. - 앳코 레코드 음반 - 2 Years On
비지스가 1969년 그룹 해체 후 재결합을 기념하여 1970년에 발매한 《2 Years On》 앨범은 깁 형제 세 명이 공동 작곡한 곡과 각 멤버의 참여가 특징이며, 호주, 캐나다, 미국 앨범 차트에서 각각 22위와 32위를 기록했다.
Peter Gabriel (1977년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피터 가브리엘 |
발매일 | 1977년 2월 25일 |
녹음 | 1976년 |
장르 | 아트 록 팝 프로그레시브 록 |
길이 | 41분 42초 |
레이블 | 카리스마 |
프로듀서 | 밥 에즈린 |
싱글 | |
싱글 1 | 솔즈베리 힐 |
싱글 1 발매일 | 1977년 3월 25일 |
싱글 2 | 모던 러브 |
싱글 2 발매일 | 1977년 6월 17일 |
녹음 장소 | |
녹음 장소 | 더 사운드스테이지, 토론토, 캐나다 모건, 런던 올림픽, 런던 |
평가 | |
Classic Rock | 9/10 |
Entertainment Weekly | A |
Uncut | 7/10 |
The Village Voice | B+ |
2. 배경
1975년 8월,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제네시스는 피터 가브리엘의 탈퇴를 공식 발표했다.[8] 가브리엘은 The Lamb Lies Down on Broadway (1974) 앨범 투어 중 밴드 동료들과의 관계 소원, 결혼 생활의 부담감, 그리고 아픈 첫 딸 안나와 아내 질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싶은 마음 등으로 인해 밴드를 떠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59][9] 그는 투어가 끝날 때까지는 활동을 마무리하기로 약속했다.[59]
1975년 8월,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제네시스는 피터 가브리엘의 탈퇴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가브리엘은 The Lamb Lies Down on Broadway (1974) 음반 지원 투어 중반에 이미 밴드를 떠나기로 결정했음을 알렸는데,[8] 다른 멤버들과의 관계 악화, 결혼 생활의 어려움,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은 마음 등을 이유로 들었다.[9] 그는 또한 제네시스를 떠나 "솔로 앨범을 내려고 도망치는" 인상을 주고 싶지 않아 잠시 음악 활동을 쉬었다.[13] 당시 제네시스의 드러머였던 필 콜린스는 이후 가브리엘을 대신해 리드 보컬을 맡게 되었으며, 밴드 멤버들은 가브리엘의 탈퇴를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었다고 밝혔다.[10] 그들은 가브리엘이 솔로 앨범을 준비한다는 소식을 듣고 행운을 빈다는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13]
커버 사진은 힙노시스의 공동 설립자이자 커버 디자이너인 스톰 소거슨이 소유한 1974년형 란치아 2000의 조수석에 앉아 있는 피터 가브리엘의 모습이다.[18][19] 이 사진 촬영은 런던 원즈워스에서 진행되었으며, 자동차에 호스로 물을 뿌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촬영된 흑백 이미지는 수작업으로 채색되었고, 아티스트 리처드 매닝이 메스를 사용하여 반사광을 수정했다.[18][19]
모든 곡은 피터 가브리엘이 작사, 작곡했으며, 〈Excuse Me〉는 마틴 홀과 공동 작사, 작곡했다.
가브리엘은 투어 말미에 〈Out, Angels Out〉이라는 제목의 편지를 음악 언론에 보내 팬들에게 자신의 입장을 설명했다. 그는 밴드가 성공을 추구하면서 창작 과정에서의 협력 정신이 변질되었고, 음악적 존중은 여전하지만 밴드 내 역할 수행이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60] 그는 편지에서 밴드나 매니지먼트와의 관계에 적대감은 없으며, 이미 서로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덧붙였다.[60]
가브리엘의 빈자리는 드러머 필 콜린스가 리드 보컬을 맡아 채웠다. 콜린스는 밴드 멤버들이 가브리엘의 탈퇴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기에 크게 놀라지 않았다고 후에 밝혔다.[10][61] 제네시스는 가브리엘 없이 1976년 앨범 《A Trick of the Tail》을 발표하며 활동을 이어갔다.[61] 가브리엘의 솔로 앨범 소식을 들은 밴드 멤버들은 그에게 행운을 빈다는 전보를 보냈다.[13]
가브리엘은 제네시스 탈퇴 후 솔로 활동을 서두른다는 인상을 피하기 위해 잠시 휴식기를 가졌다.[13] 1976년 중반, 그는 앨범 작업을 위한 데모곡들을 녹음하기 시작했다. 이 중 "Excuse Me"는 제네시스 탈퇴 전인 1975년에 시인 마틴 홀과 함께 작업한 곡이었다.[11] 가브리엘은 토드 런드그렌, 잭 니체 등 여러 프로듀서를 고려했으나,[12] 최종적으로 앨리스 쿠퍼, 루 리드, 키스 등과의 작업으로 알려진 캐나다 출신 프로듀서 밥 에즈린을 선택했다.[13] 가브리엘이 들려준 "Here Comes the Flood" 데모에 에즈린은 깊은 인상을 받았고,[13] 두 사람은 인간적인 교감을 바탕으로 공동 프로듀싱을 하기로 결정했다.[14] 에즈린은 "미국적인 리듬 섹션"과 "록적인 부분"을, 가브리엘은 "유럽적인 감성"과 "조용한 부분"을 주로 담당하기로 했다.[14]
앨범 녹음은 1976년 가을 토론토의 더 사운드스테이지(The Soundstage)에서 주로 진행되었고,[1] 런던의 모건 스튜디오와 올림픽 스튜디오에서 추가 녹음이 이루어졌다. 가브리엘은 자신이 어떤 파트를 연주할지 명확하지 않았기에 에즈린이 추천한 뮤지션들을 받아들였는데, 대표적으로 베이시스트 토니 레빈이 있다. 가브리엘은 자신의 사운드스케이프 지향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해 신시사이저 연주자 래리 패스트와 기타리스트 로버트 프립 등을 직접 섭외했다.[14] E 스트리트 밴드의 로이 비탄은 키보드 연주자로 섭외되었으나, 매니지먼트 측의 반대로 참여하지 못했다.[11] 이 외에도 드러머 앨런 슈워츠버그, 타악기 연주자 지미 마엘렌, 기타리스트 스티브 헌터, 키보디스트 조제프 치로스키 등이 세션에 참여했다. 가브리엘은 토론토 세션이 "빠르고, 흥미롭고, 뜨거웠다"고 회상했으며,[15] 특히 토니 레빈의 연주를 이틀간 지켜본 후 그에게 투어 밴드 합류를 요청했다.[13]
가브리엘은 앨범의 음악 자체에는 대체로 만족했지만, 특히 "Here Comes the Flood"의 경우 과도하게 프로듀싱되었다고 생각했다.[16] 이 곡은 1976년 여름 템스 텔레비전의 《Good Afternoon》 프로그램에서 처음 공개되었다.[16] 이 곡의 더 단순한 편곡 버전(피아노 반주 또는 피아노와 신시사이저 조합)은 이후 로버트 프립의 앨범 《Exposure》, 케이트 부시의 1979년 TV 스페셜, 가브리엘의 1990년 컴필레이션 앨범 《Shaking the Tree: Sixteen Golden Greats》 등에 수록되었다.[16][17] 가브리엘은 라이브 공연에서 이 곡을 종종 키보드 반주만으로 부르기도 한다.[17]
3. 음반 제작
1976년 중반, 가브리엘은 솔로 데뷔 앨범을 위한 데모곡들을 녹음했다. 이 중 "Excuse Me"는 시인 마틴 홀과 1975년에 함께 작업한 곡으로, 이 협업은 가브리엘이 제네시스를 떠나기 전부터 시작되었다.[11] 가브리엘은 토드 런드그렌과 잭 니체 등 여러 프로듀서를 고려했으나,[12] 앨리스 쿠퍼, 루 리드, 키스 등과 작업한 경력이 있는 캐나다 출신 프로듀서 밥 에즈린을 추천받았다.[13] 가브리엘이 에즈린에게 "Here Comes the Flood"의 데모를 들려주자, 에즈린은 이 곡에 깊은 인상을 받아 밤에 잠자리에 들면서도 흥얼거릴 정도였다고 한다.[13] 에즈린은 "우리는 서로를 이해했고, 대화를 나눴습니다. 즉시 훌륭한 인간적인 관계가 형성되었는데, 저는 무엇보다 그것을 찾고 있었습니다."라고 당시를 회상했다.[14] 두 사람은 앨범을 공동 프로듀싱하기로 합의했으며, 에즈린은 "미국적인 리듬 섹션"과 "록적인 부분"을, 가브리엘은 "더 유럽적인 느낌"과 "조용한 부분"을 주로 담당했다.[14]
''피터 가브리엘''의 녹음은 1976년 가을 토론토의 The Soundstage 스튜디오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1] 런던의 모건 스튜디오와 올림픽 스튜디오에서도 추가 작업이 진행되었다. 가브리엘은 자신이 어떤 파트를 연주할 수 있을지 확신하지 못했기 때문에, 베이시스트 토니 레빈을 포함한 에즈린의 뮤지션 섭외 제안에 동의했다. 반면, 신시사이저 연주자 래리 패스트와 기타리스트 로버트 프립 등 일부 뮤지션은 가브리엘이 자신의 사운드스케이프 지향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해 직접 선택했다. 원래 E 스트리트 밴드의 로이 비탄도 키보드 연주자로 섭외되었으나, 매니지먼트의 반대로 참여하지 못했다.[11] 가브리엘은 토론토에서의 녹음 세션을 "빠르고, 흥미롭고, 뜨거웠다"고 기억했다.[15] 특히 토니 레빈의 연주를 이틀간 지켜본 후, 그에게 자신의 투어 밴드 합류를 제안했다.[13]역할 뮤지션 비고 프로듀서 밥 에즈린, 피터 가브리엘 공동 프로듀싱 베이스 토니 레빈 에즈린 추천, 투어 합류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 래리 패스트 가브리엘 선택 (사운드스케이프 아이디어) 기타 로버트 프립 가브리엘 선택 (사운드스케이프 아이디어) 기타 스티브 헌터 드럼 앨런 슈워츠버그 타악기 지미 마엘렌 키보드 조제프 치로스키 키보드 (불발) 로이 비탄 (E 스트리트 밴드) 매니지먼트 반대로 참여 무산
음악적으로는 대체로 만족했지만, 가브리엘은 앨범, 특히 "Here Comes the Flood"가 다소 과도하게 프로듀싱되었다고 느꼈다. 이 곡은 이후 피아노만으로 연주되거나 피아노와 신시사이저만 사용된 버전으로 재녹음되어 로버트 프립의 앨범 ''Exposure''와 케이트 부시의 1979년 12월 TV 스페셜에 등장했다. 해당 TV 스페셜에서 가브리엘과 부시는 로이 하퍼의 "Another Day"를 함께 부르기도 했다.[16] 또 다른 버전은 1990년 발매된 컴필레이션 앨범 ''Shaking the Tree: Sixteen Golden Greats''에 수록되었다. 가브리엘은 라이브 공연에서 이 곡을 자주 연주하며, 관객에 따라 독일어 또는 영어 가사로 키보드 반주에 맞춰 부른다.[17] "Here Comes the Flood"는 1976년 여름, 템스 텔레비전의 ''Good Afternoon''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처음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6]
4. 커버 아트
가브리엘의 첫 네 장의 정규 음반에는 공식적인 제목이 없었기 때문에, 이 음반은 커버 사진 때문에 팬들과 온라인 음악 서비스 등에서 비공식적으로 《Car》라는 별명으로 불리게 되었다.
원래 커버 아트로는 가브리엘이 금속 볼 베어링처럼 보이도록 특수 제작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사진을 사용하는 방안도 제안되었으나, 이 사진은 최종적으로 음반의 내부 속지에 사용되었다.[19]
5. 곡 목록
5. 1. 사이드 1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피터 가브리엘이 작사/작곡했다.
# | 곡명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Moribund the Burgermeister | 피터 가브리엘 | 4:20 |
2 | 솔즈베리 힐 (Solsbury Hill) | 피터 가브리엘 | 4:21 |
3 | 모던 러브 (Modern Love) | 피터 가브리엘 | 3:38 |
4 | Excuse Me | 가브리엘, 마틴 홀 | 3:20 |
5 | Humdrum | 피터 가브리엘 | 3:25 |
5. 2. 사이드 2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피터 가브리엘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제목 | 재생 시간 |
---|---|---|
6 | Slowburn | 4:36 |
7 | Waiting for the Big One | 7:15 |
8 | Down the Dolce Vita | 5:05 |
9 | Here Comes the Flood | 5:38 |
6. 참여 음악가
음악가 | 담당 악기 및 역할 |
---|---|
피터 가브리엘 | 리드 보컬, 키보드, 플루트, 리코더 |
로버트 프립 | 일렉트릭 기타, 클래식 기타, "Excuse Me"의 밴조 |
스티브 헌터 | "Solsbury Hill", "Slowburn", "Waiting for the Big One"의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일렉트릭 리듬 기타, 페달 스틸 |
딕 와그너 | 백 보컬, "Here Comes the Flood"의 일렉트릭 기타 |
토니 레빈 | 베이스 기타, 튜바, "Excuse Me"의 이발소 4중창 리더 |
조제프 키로브스키 | 키보드, "Excuse Me"의 추가 보컬 |
래리 패스트 |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 |
앨런 슈워츠버그 | 드럼, 전화번호부 |
지미 메일렌 | 타악기, 신시밤, 본즈, "Excuse Me"의 추가 보컬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Down the Dolce Vita", "Here Comes the Flood"의 스트링 |
마이클 깁스 | 오케스트라 편곡 |
7. 차트 성적
이 음반은 1977년 2월 25일 캐리스마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으며,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애트코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영국 음반 차트에서는 7위,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는 38위를 기록했다.
첫 번째 싱글인 "솔즈베리 힐"은 영국 싱글 차트에서 20위 안에 들었고,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는 68위에 올랐다.[20] 두 번째 싱글인 "모던 러브"는 차트에 오르지 못했다.[21]
=== 주간 차트 ===
차트 (1977년)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켄트 뮤직 리포트)[36] | 25 |
오스트리아 음반 (Ö3 오스트리아 톱 40) | 10 |
캐나다 음반 (RPM) | 30 |
네덜란드 음반 (메하하르츠) | 9 |
프랑스 음반 (SNEP)[37] | 5 |
독일 음반 (Offizielle Top 100) | 9 |
뉴질랜드 음반 (리코디드 뮤직 NZ) | 38 |
노르웨이 음반 (VG-리스타) | 5 |
스웨덴 음반 (스베리예토프리스탄) | 8 |
영국 음반 (OCC)[43] | 7 |
미국 빌보드 200[42] | 38 |
=== 연말 차트 ===
차트 (1977) | 순위 |
---|---|
영국 음반 (OCC)[38] | 42 |
8. 평가
매체 | 평점 |
---|---|
올뮤직 | 4.5/5[23] |
시카고 선타임스 | 3/4[24] |
클래식 록 | 9/10[25] |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A[26] |
Q | 3/5[27] |
레코드 미러 | 4/5[28] |
롤링 스톤 음반 가이드 | 3/5[29] |
사운즈 | 5/5[30] |
언컷 | 7/10[31] |
더 빌리지 보이스 | B+[32] |
''롤링 스톤''의 평론가 스티븐 데모레스트는 ''피터 가브리엘''을 "서로 거의 닮지 않은 노래 모음집"이라고 묘사하며 "인상적이고 풍부한 데뷔 앨범"이라고 평가했다.[33] ''더 빌리지 보이스''의 로버트 크리스가우는 이 앨범이 제네시스 시절 가브리엘의 이전 작품들보다 "훨씬 더 영리하다"고 보았으며, "도전적인 질감을 파고들어 한두 줄을 해독할 때마다 조금씩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지만" 그럼에도 "고려할 가치가 있다"고 언급했다.[32] 1978년 ''NME''에 기고한 닉 켄트는 ''피터 가브리엘''을 "적어도 '솔즈베리 힐'이라는 뛰어난 명곡과 더불어, 전반적으로 훌륭한 앨범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에는 심하게 과소평가된 강력한 곡들을 갖춘 훌륭한 음반"이라고 평했다.[34] 이 앨범은 프랑스 샤를 크로스 아카데미의 상을 받았다.[35]
참조
[1]
booklet
Peter Gabriel
Real World
2002
[2]
웹사이트
35 Years Ago: Peter Gabriel's Second Solo Album Released
https://ultimateclas[...]
2013-06-24
[3]
간행물
50 Albums That Built Prog Rock
https://afka.net/ima[...]
2010-07
[4]
웹사이트
Music Week
https://www.worldrad[...]
[5]
웹사이트
Music Week
https://www.worldrad[...]
[6]
웹사이트
Peter Gabriel 1 (Car), by Peter Gabriel
https://petergabriel[...]
[7]
웹사이트
Peter Gabriel 1: Car (Remastered)
https://open.spotify[...]
1977-01-01
[8]
간행물
Help!
2007-04
[9]
보도자료
Out, Angels Out – an investigation
http://genesis-path.[...]
1975-08
[10]
간행물
Peter Gabriel Quits Genesis
1975-08-23
[11]
서적
Peter Gabriel: An Authorized Biography
Sidgwick & Jackson
[12]
웹사이트
Gabriel: The Image Gets a Tweak
https://www.rocksbac[...]
[13]
웹사이트
Peter Gabriel: Toronto Tales of the Overkill Kid
https://www.rocksbac[...]
1976-10-02
[14]
간행물
Best magazine (France), circa February 1977, as translated by Fred Tomsett in Gabriel
[15]
문서
email to petergabriel.com mailing list on the album's fortieth anniversary, 25 February 2017
[16]
간행물
Peak Time Viewing: Peter Gabriel on British TV 1975–90
[17]
Youtube
Peter Gabriel "Here Comes the Flood" on Guitar Center Sessions
https://www.youtube.[...]
2010-08-06
[18]
웹사이트
Hipgnosis Album Cover Art
http://www.richardma[...]
richardmanning.co.uk
[19]
웹사이트
Peter Gabriel 1 – Car
http://realworldgall[...]
Real World Galleries
[20]
Billboard
[21]
서적
Peter Gabriel: Every Album, Every Song
SonicBond
[22]
서적
Without Frontiers: The Life and Music of Peter Gabriel
Omnibus Press
[23]
웹사이트
Peter Gabriel [1] – Peter Gabriel
https://www.allmusic[...]
AllMusic
[24]
뉴스
A Solo Discography
https://www.highbeam[...]
1993-07-04
[25]
간행물
Peter Gabriel: Vinyl Reissues
https://www.louderso[...]
2015-10-02
[26]
간행물
Peter Gabriel: Peter Gabriel 1 / Peter Gabriel 2 / Peter Gabriel 3 / Security / Plays Live / Birdy / So / Passion / Us
2002-07-12
[27]
간행물
Peter Gabriel: Peter Gabriel
2002-06
[28]
간행물
And lo, the angel cometh
1977-02-26
[29]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30]
간행물
Peter Gabriel: Peter Gabriel (Charisma)
https://www.rocksbac[...]
1977-02-19
[31]
간행물
Peter Gabriel: Peter Gabriel 1 ('Car') / Peter Gabriel 2 ('Scratch') / Peter Gabriel 3 ('Melt') / Peter Gabriel 4 ('Security')
2015-11
[32]
뉴스
Christgau's Consumer Guide
https://www.robertch[...]
1977-04-25
[33]
간행물
Peter Gabriel
https://www.rollings[...]
1977-05-05
[34]
간행물
Gabriel: The Image Gets a Tweak
1978-06-10
[35]
웹사이트
Peter Gabriel (Car)
http://mrprog.free.f[...]
[36]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37]
웹사이트
Le Détail des Albums de chaque Artiste – G
http://www.infodisc.[...]
2012-06-09
[38]
잡지
Top Albums 1977
https://worldradiohi[...]
2021-12-01
[39]
문서
「'ピーター・ガブリエル I'」の表記もある。
[40]
서적
In the Court of King Crimson: An Observation over Fifty Years
Panegyric
[41]
문서
1981年には、本作の制作で出会ったトニー・レヴィンを誘って新しいキング・クリムゾンを結成した。
[42]
웹사이트
Peter Gabriel
https://www.billboar[...]
2023-01-18
[43]
웹사이트
Peter Gabriel|full Official Chart History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2023-01-18
[44]
booklet
Peter Gabriel
Real World Records
2002
[45]
웹인용
35 Years Ago: Peter Gabriel's Second Solo Album Released
https://ultimateclas[...]
2020-07-17
[46]
웹인용
Peter Gabriel [1] – Peter Gabriel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1-07-25
[47]
뉴스
A Solo Discography
https://www.highbeam[...]
2016-11-02
[48]
잡지
Peter Gabriel: Vinyl Reissues
https://www.louderso[...]
2020-10-18
[49]
잡지
Peter Gabriel: Peter Gabriel 1 / Peter Gabriel 2 / Peter Gabriel 3 / Security / Plays Live / Birdy / So / Passion / Us
2002-07-12
[50]
잡지
Peter Gabriel: Peter Gabriel
2002-06
[51]
잡지
And lo, the angel cometh
1977-02-26
[52]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53]
잡지
Peter Gabriel: Peter Gabriel (Charisma)
https://www.rocksbac[...]
2020-10-25
[54]
잡지
Peter Gabriel: Peter Gabriel 1 ('Car') / Peter Gabriel 2 ('Scratch') / Peter Gabriel 3 ('Melt') / Peter Gabriel 4 ('Security')
2015-11
[55]
뉴스
Christgau's Consumer Guide
https://www.robertch[...]
2011-07-25
[56]
서적
Without Frontiers: The Life & Music of Peter Gabriel
Music Sales Group
[57]
잡지
Peak Time Viewing: Peter Gabriel on British TV 1975–90
[58]
Youtube
youtube.com
https://www.youtube.[...]
[59]
잡지
Help!
2007-04
[60]
보도자료
Out, Angels Out – an investigation
http://genesis-path.[...]
2007-03-23
[61]
잡지
Peter Gabriel Quits Genesis
1975-08-23
[62]
웹인용
Hipgnosis Album Cover Art
http://www.richardma[...]
richardmanning.co.uk
2015-04-01
[63]
웹인용
Peter Gabriel 1 – Car
http://realworldgall[...]
Real World Galleries
2015-04-01
[64]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